데이터 단말 장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터 단말 장치(DTE)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작동하며, 데이터 통신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단말의 기능 단위이다. DTE는 사용자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일 장치이거나 여러 장치의 조합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에뮬레이션하는 컴퓨터를 의미하며,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CE)는 모뎀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DTE는 수 커넥터, DCE는 암 커넥터를 사용하며, DCE가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DTE가 이에 동기화된다. D-sub 커넥터는 RS-232 핀 할당 규칙을 따른다. 네트워크 연결 시 DTE-DTE 연결에는 크로스오버 케이블이, DTE-DCE 연결에는 직선 케이블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기기 - 도파관
도파관은 전자기파나 음파를 특정 경로로 전달하는 장치로, 20세기 중반 레이더 기술 발전에 따라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현재는 통신, 의료,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주파 통신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통신 기기 - 팩시밀리
팩시밀리는 문서나 그림을 전기 신호로 원격 전송하고 복제하는 기술 및 장치이며, 유선, 무선, 전화선을 이용한 전송 방식으로 발전해왔고, 기술적 분류를 거쳐 소형화, 고속화되었으며, 21세기에는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특정 분야에서 활용된다. - 데이터 전송 - 대역폭 제한
대역폭 제한은 네트워크 혼잡 방지, 특정 사용자 과도한 사용 방지, 서비스 품질 관리 등을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기술이다.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데이터 링크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연결로,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으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특히 항공 분야에서 항공 교통 관제 및 정보 교환, 무인 시스템 제어에 사용된다.
데이터 단말 장치 |
---|
2. 구성
DTE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Data Source and Sink)로 작동하고 데이터 통신 제어 기능이 링크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제공하는 데이터 단말(Data Station)의 기능 단위이다.
데이터 터미널 장비는 사용자들이 통신하기 위해 접속이 필요한 모든 요구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일 장비이거나 많은 장비의 상호접속 부체계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DTE와 상호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DTE 장비는 터미널 (또는 터미널을 에뮬레이팅한 컴퓨터)이고, DCE는 모뎀이다.
DTE는 일반적으로 수 커넥터이고 DCE는 암 커넥터이다.
일반적인 룰은 DCE 장비는 클럭 신호 (내부 클럭)을 제공하고 DTE 장비는 제공되는 신호 (외부 클럭)에 동기화한다.
D-sub 커넥터는 핀 할당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25핀 DTE 장치는 2번 핀으로 전송하고 3번 핀으로 수신한다.
- 25핀 DCE 장치는 3번 핀으로 전송하고 2번 핀으로 수신한다.
- 9핀 DTE 장치는 3번 핀으로 전송하고 2번 핀으로 수신한다.
- 9핀 DCE 장치는 2번 핀으로 전송하고 3번 핀으로 수신한다.
2. 1. 연결
DTE를 토폴로지에 단순히 추가하는 경우(예: 허브, DCE)에는 상호 연결 케이블의 양 끝에 두 가지 유형의 장치가 있다고 가정한다. 동일 종류의 장비, 즉 DTE-DTE 또는 DCE-DCE를 상호 연결할 경우에는 크로스오버 케이블이 필요하며, 예를 들어 이더넷이나 널 모뎀이 RS-232에 사용된다.[1]D-sub 커넥터는 핀 할당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25핀 DTE 장치는 2번 핀으로 전송하고 3번 핀으로 수신한다.
- 25핀 DCE 장치는 3번 핀으로 전송하고 2번 핀으로 수신한다.
- 9핀 DTE 장치는 3번 핀으로 전송하고 2번 핀으로 수신한다.
- 9핀 DCE 장치는 2번 핀으로 전송하고 3번 핀으로 수신한다.
2. 1. 1. 25핀 D-sub 커넥터
D-sub 커넥터는 핀 할당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25핀 DTE 장치는 2번 핀으로 전송하고 3번 핀으로 수신한다.
- 25핀 DCE 장치는 3번 핀으로 전송하고 2번 핀으로 수신한다.
2. 1. 2. 9핀 D-sub 커넥터
D-sub 커넥터는 핀 할당에 대한 또 다른 규칙을 따른다.[1]- 9핀 DTE 장치는 3번 핀으로 전송하고 2번 핀으로 수신한다.
- 9핀 DCE 장치는 2번 핀으로 전송하고 3번 핀으로 수신한다.
3. 네트워킹
DCE 장비는 일반적으로 클럭 신호(내부 클럭)를 제공하고, DTE 장비는 제공된 신호에 동기화되어 작동한다(외부 클럭). 라우터, 브리지와 같이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없는 네트워크 장치도 DTE로 분류될 수 있다.
PC 간의 직접 이더넷 연결(DTE-DTE)은 이더넷 크로스오버 케이블을 사용하는 반면, PC와 허브 또는 스위치(DTE-DCE) 연결은 이더넷 직선 케이블을 사용한다.
V.35는 디지털 회선을 통해 DTE와 DCE 간의 더 높은 데이터 속도 연결을 지원하는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이다. 과거 대한민국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망 구축에 활용되기도 했다.
4. 해설
데이터 단말 장치(DTE)는 데이터 통신의 말단 장치이며, 데이터의 발생점 및 종착점으로서 기능하며,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DTE는 하나의 장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통신을 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군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DTE와 상호 작용한다. 또는 관점에 따라 사용자를 DTE 그 자체로 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DTE 기기는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서 에뮬레이트된 단말기)를 의미한다. DCE는 모뎀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황에 따라 가입자 회선 종단 장치(DSU), 광 회선 종단 장치(ONU), 터미널 어댑터(TA) 등을 가리키기도 한다.
배선상에서는 DTE는 수형 커넥터, DCE는 암형 커넥터이다.
일반적으로 DCE 기기는 클럭 신호를 공급하고, DTE 기기는 해당 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D-sub 커넥터는 핀 배치 규약을 따른다.
이 용어는, 통신 회사나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의 기기에 대해서도, 클럭 신호의 공급 관계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PC끼리 이더넷 크로스오버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경우도 DTE/DCE로 부르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